나 홀로 전원 단독주택을 짓고 유지 관리하는 것과 같이 매달 비용을 지불하는 워드프레스 Applications 으로 만든 사이트는 Tistory 나 Naver Blog 와 달리 필요한 경우 관리 최상위 폴더의 파일까지
사용자의 수정과 파일을 올릴 수 있는 권한으로 인하여 전문가에게는 제한없는 환경의 장점으로, 초보자에게는 한번의 실수로 홈페이지 접속이 안되는 무서운 경험까지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WordPress 를 운영하는 이유 중에 하나인 막강한 자유도를 경험할 수 는 장점으로 사용하게 되는 파일을
upload&download 하여 관리하는 웹 서버에 SFTP 로그인 클라이언트로 접속하여 루트 폴더를 찾아 이동하는 방법을 Cloudways(클라우드웨이즈) 클라우드서버를 사용하는 기준으로 설명 드리려고 합니다
WordPress 파일 관리 방법의 이해
홈페이지에서 사용하는 이미지와 html 파일들의 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웹 서버는 워드프레스 의 wp-admin 관리페이지으로 만 파일 데이터 정보를 수정 변경하기에는 불편함이 큽니다
그래서 결제 이용하고 있는 서버업체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FTP 로 접속할 수 있는 웹 로그인 등의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특정 호스팅 서버 업체에서 제공하는 제한된 기능의 응용 서비스를 이용하기 보다는 다른 서버에서도, 다른 작업 공간에 있어도 동일한 응용 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학습과 많은 사용자가 사랑하고 이용하는 프로그램을 알고 활용하는 습관을 유지하시는 게 좋습니다
오늘은 FTP 유틸리티 응용 소프트웨어로 클라우드웨이즈 Cloud Hosting Server로 관리하고 있는 워드프레스의 파일 관리를 하는데 사전에 알고 있어야 하는 정보 2가지와 루트 폴더 위치로 찾아 이동할 수 있는 방법을 익혀보겠습니다
1. 사전확인 정보: 클라우드웨이즈 사용 서버 정보 확인
Cloudways 클라우드 호스팅 서비스를 유료 결제하며 워드프레스 서버로 사용하고 있다면는 이메일로 아이디 역할을 대체할 수 있는 계정명과 비밀번호를 만들어 회원가입하였던 정보를 입력 또는 LinkedIn, GitHub, google 의 3개의 사이트에 가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계정을 연동하여 회원가입 하였던 정보로 로그인 하셨다면

처음 보여지는 서버(Servers) 설정 상태 웹페이지에서 서버를 만든 일자와 램 용량, IP 주소 그리고 서버위치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텍스트 영역으로 이동하여 마우스를 클릭하여 세부 정보와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웹페이지로 이동을 하시면 됩니다

왼쪽의 배치 되어 있는 메뉴 중 첫번째에 있는 <Master Credentials> 항목의 기본 선택된 상태에서 찾을 수 있는 <Public IP> 와 <Username> 그리고 <Password> 는 마우스로 클릭하여 복사 후 붙여넣기 할 수 있도록 준비가 필요합니다
2. 사전확인 정보: Cloudways 서버의 설치 Applications 정보 확인

두번째로 확인&준비해야 하는 정보는 설치한 서버에 2개 이상의 WordPress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였다면 해당 워드프레스의 MYSQL ACCESS에 사용하는 <DB Name> 까지 기억할 수 있도록 메모나 웹 브라우저 창을 유지해 주시면 됩니다
3. FTP 클라이언트 앱 접속을 위한 사용 및 기본 Root 폴더 위치
워드프레스 서버에 파일을 직접 수정이나 업&다운로드를 할 수 있는 방법으로 File Manager 플러그인을 활용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도 있지만,
사용하고 있는 서버와 설치 되어있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별도의 추가적인 프로그램의 설치 작업을 하지 않아도 이용할 수 있는지 살펴서 이후에도 필요 없는 플러그인의 설치를 스스로 제약하여 사이트 접속 로딩 속도에 부정적인 영향이 가지 않도록 늘 신경을 쓰시는 것이 좋습니다
서버에 파일을 전송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FTP(File Transfer Protocol) 프로그램 앱 중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파일질라(FileZilla) 로 사용하여 진행 모습을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앞에서 준비하였던 1번째 정보로 접속할 호스트 서버 아이피와 사용자 이름 입력과 함께 프로토콜은 SFTP 로 지정 후
자주사용하는 호스트 로그인 시 비밀번호를 매번 입력하는 불편함을 줄이면서 사용자 편리함으로 쉽게 사용하였던지 비밀번호 저장 기능은 최근 무료버전에서는 제한되기 때문에 <로그인 유형> 을 <비밀번호 묻기> 로 선택하여 접속할 때 마다 비밀번호를 붙여넣기 or 입력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사용하는서버계정의 최상위 폴더 루트에 접속을 하였기 때문에 워드프레스가 설치된 계정에서 접속한 모습과 달리 처음 사용자 분들은 사용용도를 알 수 없는 여러 다른 폴더를 만나게 됩니다
클라우드웨이즈에 applications으로 설치한 WordPress의 데이터베이스(Database) 이름과 같은 폴더를 찾은 다음 <public html> 폴더까지 클릭 이동하면 작업하려는 워드프레스의 파일을 찾고 전송할 수 있는 root 디렉토리 위치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운영 관리하고 있는 블로그나 홈페이지를 한개의 서버에 2개 이상 설치하여 작업 중이었다면 2번째로 사전 확인해야 하는 정보로 찾았던 <DB Name> 과 같은 폴더를 찾아 하위 폴더로 이동하시면 됩니다
Wrap-up
오늘 살펴본 방법은 관리하는 홈페이지나 블로그가 CloudWays 에 모두 이전 or 생성하여 운영하고 있을 때
파일질라 FTP 클라이언트를 활용하여 워드프레스를 운영하고 있는 계정의 DB 이름을 홈페이지에서 찾아 확인 하여 applications 폴더 하위에 있는 root 폴더로 이동하여 작업하는데 사전에 필요한 내용과 과정을 배워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