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웨이즈에서 사이트의 보안과 속도 최적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플레어 엔터프라이즈 서비스를 4.99달러의 부담이 적은 월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세팅과정에서 도메인 등록업체 중 구글도메인을 기준으로 연결하는 이전의 조금 다른 환경에서의 작업 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리려고 합니다

Cloudways 의 Cloudflare 서비스 이용하기
Cloudways에 서버를 만들고 WordPress 응용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s) 설치가 되었다면 다음으로 체크해야 하는 필요한 과정 중에 하나는 보유하고 있는 도메인을 cloudways 의 클라우드호스팅 서비스 업체로 연결과 함께 클라우드웨이즈에서 Cloudflare 의 CDN, 이미지 최적화, DDOS 공격으로 부터의 보호, 모바일 접속 환경에서의 최적화 그리고 웹 페이지의 캐시 기능을 제공하는 엔터프라이즈 유료 서비스를 도메인 별 월 최고 4.99달러에서 최저 $1.99 로
클라우드 플레어 프로 전문가 웹사이트용으로 월 20달러, 비즈니스 요금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1달에 200달러로 최근 환율을 적용하면 2만5천원에서 25만원 이상의 비용을 2천5백원에서 5천원의 1/10 비용으로 홈페이지 보안과 웹 페이지 로딩 속도 향상의 최적화를 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웨이즈의 Cloudflare 서비스 사용을 위한 CNAME, A레코드 정보

WordPress 를 설치한 Applications 의 프로그램관리(Management) 페이지의 하단에 위치해 있는 <Cloudflare> 를 선택하여 서비스 신청 작업을 시작합니다

25개 이상의 도메인을 관리하는 계정이라면 1달에 1.99달러의 비용을, 일반적인 1개에서 4개 까지의 도메인을 같은 계정에서 신청하는 경우에는 $4.99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안내 문구 위에 있는 입력 칸에 연결하려는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면 <ENABLE> 버튼을 클릭할 수 있도록 활성화가 됩니다

<Enabling Cloudflare integration for your Application.. > 메시지가 사라질 때까지 잠시 기다려 주시면

상태에서는 아직 도메인이 연결되기 전 <Domain not Live> 의 상태 확인 후 활성화 시키기 위해서는 우측에 있는 <View CNAME Record> 의 녹색 버튼을 클릭하여 설정 정보에 대해서 확인을 해야 합니다

도메인을 등록관리하는 사이트에 “@“ 와 “WWW” 의 호스트 이름을 사용하는 2개의 CNAME 레코드를 추가하여 클라우드웨이즈에서 활성화될 때까지 기다리는 어렵지 않게 세팅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CNAME 레코드를 지원하지 않는 도메인 서비스 공급업체라면 아래의 노란색 텍스트 박스를 클릭하여 추가로 표시되는 내용과 같이 2개의 레코드 모두 A레코드로 변경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레코드 등록은 앞에서 소개 하였던 CNAME 레코드의 텍스트의 도메인 주소의 Hostname 이 아닌 <Value> 의 아이피 주소를 복사하여 작업해 주시면 됩니다
Google Domains 에서 Cloudflare DNS 등록하기
해외에 있는 인터넷 웹 호스팅과 관련된 설정에서 예시로 자주 접하게 되는 GoDaddy를 사용하신다면 참고할 정보가 많겠지만, 구글 도메인과 같이 C Name 레코드를 깔끔하게(?) 등록 과정이 진행이 안되는 경우에는

보유하고 있는 도메인을 선택하면 표시되는 좌측 영역의 <DNS> 메뉴에서 cloudways 와의 연결작업을 진행해 주어야 합니다

기본 네임 서버의 리소스 레코드 영역 데이터에 아이피 주소와 함께 호스트 이름을 @ 와 WWW 을 사용하는 2개의 A 레코드를 추가해 주시면 됩니다
구글도메인에서는 호스트 이름에 골뱅이(@)을 입력하지 않고, 데이터에 Cloudflare 연결에 필요한 제공받은 IP를 입력하면 도메인 관리 사이트에서는 작업이 끝나게 됩니다

Wrap-up

도메인 관리 사이트에서 변경한 DNS 설정이 즉시 적용되는게 아니라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그 동안 SSL 보안서버 인증서 적용 등과 같은 다른 작업을 진행하면서 중간중간 점검하여 Cloudflare 에 연결한 Domain 의 상태가 <Active> 로 변경 되었는지 확인해 주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