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사이트(블로그, 홈페이지)를 처음 만들 때도 호스팅 업체와 홈페이지 주소인 도메인 네임을 구입하면서 예산과 관리의 용이 등의 시장조사를 통하여 최선의 선택을 하였지만, 이후 사용기간 연장에 필요한 계약 갱신 기간에는 현재 관리 업체를 유지하기보다는 할인된 유지 비용, 그동안 홈페이지나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중요시하게 생각하는 요인을 충족해 주는 새로운 서비스 업체를 찾게 됩니다

그 중에서 인터넷 도메인 네임 등록 서비스 업체로 한국에서는 가비아를, 해외에서는 GoDaddy 나 namecheap 가 같은 도메인 등록기관으로 높은 인지도와 사용자가 많이 이용하고 있는 Domain 등록 업체들과 상대적으로 1년 또는 다년 계약시 결제금액을 줄일 수 있는 업체를 매년 찾아 이동하는 방법을 상황에 따라서 이용하게 됩니다

많은 도메인기관 중에서 검색사이트로 하루에도 몇번씩 사용하고 있는 구글(Google)에서도 구글도메인(Google Domains) 이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를 제공하여 간편하게 도메인 주소 구매와 함께 다른 기관에서 구입&등록한 도메인을 이전 역시 쉽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도메인 주소 관리 업체를 구글 도메인으로 바꾸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구글 도메인 메뉴 목록 살펴보기

구글 도메인 사이트는 좌측에 그림과 같이 <새 도메인 찾기>, <내 도메인>, <이전>, <결제>, <계정> 의 주요 메뉴 5개의 심플한 배치로 오히려 아래에 비어 있는 여백이 많은 홈페이지 UI 구성이 인상적입니다

google domains 화면 구성(UI)
구글 도메인 메뉴 구성

새로운 홈페이지나 블로그에 필요한 도메인을 구입할 때 이용하게 되는 <새 도메인 찾기> 메뉴 이외에는 대부분의 작업은 <내 도메인> 메뉴에서 등록되어 있는 Domain 주소를 선택하여 작업을 하게 됩니다

이번 시간에 우리가 필요한 정보인 다른 도메인 관리 업체에 등록 관리하고 있는 도메인을 구글로 가져오기 위한 작업은 3번째에 위치해 있는 <이전> 메뉴를 선택하여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전할 도메인 작업 프로세스 절차

구글 도메인으로 도메인 이전 작업 시작을 위한 도메인 주소 입력 1단계과정
google domains 으로 이전한 도메인 주소 입력

홈페이지 상단에 있는 검색창에는 본인이 소유하고 있는 도메인이나 관리대행 업무를 위임받아 작업하는 사이트 주소를 입력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게 됩니다

현재 도메인 관리기관에서 해야할일
도메인 이전 기관으로 부터 필요한 2가지 작업 리스트

도메인 이전 프로세스는 크게 3단계로 구분하여 진행된다고 표시가 되고 있습니다

1번째 단계인 <도메인 준비> Google Domains 로 이전하려는 도메인 주소가 먼저 표시가 되며, 이전하면서 도메인 1년 연장 이용료인 금액이 결제된다는 안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을 옳기기 위해서는 현재 등록 관리기관에서 도메인 잠금 설정이 되어 있다면 잠금 해제와 함께 도메인 이전에 필요한 <도메인 인증코드 발급> 작업을 등록기관에서 신청하여 <승인 코드 입력> 칸에 입력 작업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google domains 브라우저 창과 함께 한국의 가비아, 호스팅케이알, 닷네임, 웹티즌, 카페24 등의 관리업체 or 해외에 있는 도메인 관리 등록 업체인 GoDaddy, namecheap 등의 사이트에 로그인하여 필요한 작업을 진행하는 또 하나의 브라우저 윈도우를 띄우고 번갈아 가면서 작업 진행이 필요할 수 도 있습니다

Google Domains 으로 이전 DNS 정보의 레코드 설정 유지 여부 확인 2단계 과정
현재 네임서버의 레코드 정보 상속 유지 여부 선택 단계

2번째 <웹 설정 가져오기> 단계에서는 사용하고 있는 도메인에 설정되어 있는 DNS 레코드의 정보를 그대로 유지할지 와 현재 네임 서버를 유지하고 다른 설정은 가져오지 않을지 선택하도록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리소스 레코드 보기><가져오는 항목 자세히 알아보기> 의 파란색 텍스트 링크를 각각 클릭하여 필요한 정보를 살펴서 도메인 주소와 호스팅 업체가 서로 연결이 잠시라도 끊어지는 일이 없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개인정보 보호설정과 자동 연장갱신 등록의 3단계 과정
자동 갱신 및 개인정보 보호 기능 사용 여부 선택

마지막 3번째 단계의 <등록 설정 구성> 에서는 현재 기준의 도메인 만료 연월일 정보와 함께 도메인을 Google Domains 으로 이전하면서 1년 연장되면서 결제해야 하는 세금 별도의 달러 금액 안내 텍스트와 함께

WHOIS 에 도메인 소유 조회 시 표시되는 개인정보 연락처를 공개되지 않도록 하는 <개인정보 보호 사용 중> 과 등록한 신용카드로 매년 도메인 만료 무렵에 요금을 청구하면서 갱신이 자동으로 진행되는 옵션 인<자동 갱신 사용 중> 의 2가지 서비스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 후 <결제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신용카드로 해외 결제 작업을 진행으로 필요한 과정을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이전 대기 중인 도메인 살펴보기

Google Domains 으로 도메인 이전 신청을 완료했다고 그 즉시 바로 완료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청한 작업이 무사히 완료되었는지?, 혹시라도 지연이나 문제가 생겼는지 이후 점검 작업도 필요합니다

이전 신청 도메인 상태 점검 방법
내도메인 메뉴에서 이전 신청한 도메인 상태 점검

도메인 관리 업체 이전 작업 현황은 좌측에 있는 <내 도메인> 메뉴를 클릭하면 구글 도메인에서 잘 관리하고 있는 도메인 목록 상단에 <대기 중인 도메인> 이라는 항목이 추가되면서 진행 상태 게이지와 함께 현재 진행 중인 과정 안내를 보실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Pros & Cons

구글 이라는 신뢰할 수 있는 기업 브랜드의 도메인 관리 업체라는 점과 1년 단위로 자동 결제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도메인 연장 신청 기간을 놓쳐서 도메인을 사용하지 못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건망증이나 필요한 시기에 실수를 하는 분들에게는 도움이 되는 장점과 함께 호스팅이나 여러 웹서비스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인터넷 국내외 사용자들로 부터의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도메인 구매 시 또는 도메인 연장 갱신할 때 저렴한 비용을 최우선으로 하는 경우에는 결제 시점에 Google Domains(구글 도메인) 이 최저가격이 아닐 수 있다는 점과 현재 달러 환율 상승이라는 단점으로 현재 잘 사용하고 있는 도메인 등록기관이 있다면 적절한 시기에 변경을 고려하시는 것이 좋을 거 같습니다

Previous article워드프레스 플러그인 추가 설치 사용 활용방법
Next articleCloudways 호스팅에 구글 도메인(Google Domains) DNS 서버 설정 연결 방법